김정은-푸틴 회담 가능성에 서방 공포
09/06/2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러시아 방문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진 것과 관련해 실제로 방러가 성사된다면 양국 모두에 '윈-윈'이 될 수 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전망했다.
이 매체는 2019년 6월 이후 4년 넘게 외국 방문을 하지 않았던 김 위원장에게는 "푸틴 대통령을 만날 많은 이유가 있다"고 평가했다.
우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을 이유로 수년간 국경을 폐쇄한 탓에 수십년 사이 최악의 식량난을 겪는 북한 상황을 고려할 때 "러시아는 북한에 식량 원조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또 "북한 정권은 팬데믹을 극복했음을 보이는 선전전에 김 위원장의 국제정치 복귀를 활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한국과 미국, 일본이 3자 협력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러시아와의 군사협력 강화는 국제적으로 고립돼 있던 북한 정권에도 강력한 우군이 있다는 점을 재차 전 세계에 알리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WSJ은 강조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의 아르툠 루킨 교수는 이에 대해 "김정은은 핵무기가 있다고 해도 북한이 한미일 동맹보다 얼마나 약한지 잘 알고 있다"면서 "북한은 정말로 위협을 느끼고 있다"고 진단했다.
러시아 역시 북한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이 적지 않다.
WSJ은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회담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많다"면서 "북한 정권은 특히 시베리아와 극동에서 심각한 노동력 부족을 겪는 러시아에 더 많은 노동자를 보내는 데 합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이 제기된 건 우크라이나가 남부전선의 러시아군 방어선을 일부 돌파한 시점에서 나왔다면서 "북한 정권은 러시아 정부가 군수품 생산을 늘리는 동안 공급을 안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우크라이나 전선의 러시아군은 포탄은 물론 기본적인 군수품 공급마저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북한이 수십년간 비축해 온 옛 소비에트연방(소련)제 탄약과 무기 등을 제공한다면 이런 문제 극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란 이야기다.
다만, 북한의 무기공급 능력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WSJ은 내다봤다.
이 매체는 "한국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에는 무기를 생산할 수 있는 군수품 공장이 300개가 넘지만, 국제제재에 따른 원자재나 교체부품 부족으로 운영에 영향을 받아왔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보유한 무기 대부분이 소련 시절 개발된 구형 무기체계이고, 최신무기들은 대량생산 체제를 갖추지 못했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했다.
WSJ은 북한과의 무기거래나 북한의 해외노동자 파견은 모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결의 위반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