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주정부들, 관세보복 나서...미국산 주류 '아웃'

캐나다 연방정부가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 맞서 25% 보복 관세로 대응한 것과 동시에 일부 캐나다 주(州)정부는 자체적인 비관세 보복 조치에 나섰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캐나다 13개 주(州) 중 인구가 가장 많은 온타리오 주정부는 전날 발표한 성명에서 4일부터 공기업인 LCBO 매장들에서 미국산 수입품을 판매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또한 LCBO의 카탈로그에서도 미국산 수입품을 삭제해 소매업체나 식당 등이 주문할 수 없게 하겠다고 덧붙였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지사는 성명에서 "매년 LCBO는 (온타리오에서) 10억달러(약 1조4천7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와인, 맥주, 증류주 등을 판다. 이제 더는 아니다"며 "온타리오나 캐나다에서 만든 상품을 선택하는 데 이보다 더 좋은 때는 없다"고 했다.

LCBO는 온타리오주 내 유일한 주류 도매업체라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인구 2위인 퀘벡 주정부도 산하 공기업이 운영하는 주류 매장들에 4일부터 미국산 제품을 판매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이외 브리티시 컬럼비아(BC)주도 비슷한 지시를 내렸고, 노바 스코티아주와 마니토바주도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OEC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미국의 주류 수출국 2위는 캐나다로, 2천590만달러어치가 수출됐다.

이에 대해 미국 주류협회(DISCUS) 크리스 스웡거 최고경영자(CEO)는 "실망스럽고 생산적이지 않은 보복 공격"이라며 "매장 선반에서 미국 주류를 없애는 것은 불필요하게 그들의 수입을 줄이고 캐나다 소비자와 기업들을 해칠 것"이라고 반발했다.

앞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일 밤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트럼프 관세에 맞서 1천550억 캐나다달러(약 156조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중 300억 캐나다달러 상당의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4일부터 적용되고, 나머지 1천250억 캐나다달러 상당 제품에 대한 관세는 캐나다 공급망 조정을 고려해 3주 내에 발효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트뤼도 총리는 "관세 범위는 광범위할 것"이라며 술, 과일, 채소, 의류, 신발과 같은 일상용품을 포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주지사들이 비관세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경제 뉴스

제목 등록 조회 일자
캐나다, 미국 자동차 요금인상·술도 퇴출 글로벌한인 956 02/03/25
"아보카도 수입 90%는 멕시코산"...식탁물가 비상 글로벌한인 731 02/03/25
"미국, 엔비디아 저사양 칩 중국 수출통제 검토" 글로벌한인 693 01/31/25
지지층 내 내홍 격화...트럼프 옛 책사 "머스크 쫓아내겠다" 글로벌한인 777 01/13/25
트럼프 첫날 행정명령에 테슬라 주가 2% 하락 글로벌한인 642 01/23/25
트럼프, 전기차 우대하는 '불공정 보조금' 폐지 검토 지시 글로벌한인 591 01/22/25
신흥국 채권시장 타격 큰 '미국 우선주의'가 몰아친다 글로벌한인 974 01/21/25
미국인 60% "트럼프 2기 4년 낙관적" 글로벌한인 761 01/20/25
누그러진 물가지표에 미국 금리인하 기대감 다시 살아나 글로벌한인 646 01/17/25
LNG 산업, 트럼프 2기 최대 수혜 글로벌한인 799 01/16/25
트럼프 경제팀, 보편관세 "매월 2~5%씩 점진적 인상 검토중" 글로벌한인 637 01/15/25
지지층 내 내홍 격화...트럼프 옛 책사 "머스크 쫓아내겠다" 글로벌한인 895 01/14/25
달아오르는 미국 IPO 시장,주가 강세에 트럼프 친기업 정책까지 글로벌한인 1062 01/07/25
트럼프 2기 첫해 S&P 500 전망은? 글로벌한인 1132 01/06/25
애플, 중국에서 '새해 할인' 시작 "최대 16만원↓" 글로벌한인 1495 01/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