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트럼프·시진핑 6월 정상회담 개최 논의 시작"
03/12/25 미국과 중국이 오는 6월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간 첫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들은 WSJ에 이 논의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고 전했다.
만약 6월 회담이 성사되면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 1월 취임 이후 첫 만남이 된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모두 6월이 생일이기 때문에 '생일 정상회담'의 의미도 있다고 WSJ는 보도했다.
나아가 회담 장소와 관련, 중국 측은 베이징 개최를 선호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시 주석이 방미하기보다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찾는 방식으로 회담이 성사되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경제적 공세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시 주석이 워싱턴DC를 찾을 경우 외양적으로 시 주석이 미국에 경제적 압박을 완화해줄 것을 요청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는 중국 측 우려가 깔린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에 이어 이번 달 초에 대(對)중국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이에 따라 중국 제품에 대해서는 이른바 '10+10%(모두 20%)'의 추가 관세가 붙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집권 때도 중국에서 수입되는 주요 제품에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중국은 미국의 추가 관세에 맞대응해 이날부터 미국 농축산물 등에 대해 10∼15%의 관세를 부과하는 등 보복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간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관세를 비롯한 통상 문제 전반에 대한 양측 간 협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2위인 미국과 중국 간 통상 전쟁은 양국은 물론 글로벌 경제에도 타격을 주고 있다는 평가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10% 관세를 부과하기 직전인 지난달 3일 시 주석과 "금명간 통화하겠다"고 언급했으나 이튿날까지 성사되지 않자 통화가 적절할 때 이뤄질 것이라며 "서두르지 않겠다"고 말했다.
미중 간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대만과 북한 문제를 비롯한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문제도 의제가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문제 등도 회담 핵심 안건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간 접촉은 양측 공식 발표 기준으로 지난 1월 20일 취임 직전이 마지막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지난달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취임 이후에도 시 주석과 통화한 적이 있다고 말하면서도 구체적인 시점 등은 거론하지 않았다.
다만 중국 외교부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전에 이뤄진 통화만 재확인했다.
한편, WSJ 보도에 앞서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르면 다음 달 중국에서 무역전쟁 격화 속에 미중 간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여러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장소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이 자신의 사저인 미국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를 방문하기를 바란다는 의사를 분명하게 밝혔으나, 중국 측은 워싱턴DC에서 더 공식적인 회담을 갖거나 트럼프 대통령을 베이징에 초대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정상은 트럼프 1기 때인 2017년 마러라고에서 회담했다.
한 소식통은 SCMP에 "트럼프 대통령이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이후 중국을 방문한다면 특히 시 주석에게는 중요한 외교적 승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국 외교장관도 전화 통화만 했을 뿐 아직 공식회담은 갖지 못하고 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과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은 지난 1월 24일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통화했다.
루비오 장관은 신장위구르자치구 소수민족 인권 문제 등을 비판하다 2020년 중국 제재 대상에 올라 현재 기술적으로 중국 방문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