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 보편관세로 무역전쟁 확전시 전세계 경제 1조4천억 달러 타격
04/03/25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모든 나라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각국이 보복관세로 맞설 경우 전세계 경제에 1조4천억 달러(2천조원) 규모의 타격이 가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이 무역전쟁의 범위를 늘리고 각국이 똑같이 보복하는 과정을 6단계로 가정해 구분했을 때 결국 가장 큰 피해는 미국이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과 같은 일부 국가는 미미하게나마 이익을 보다가 결국 피해를 입는 것으로 분석됐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1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범위가 확대되고 보복에 나서는 국가도 늘어나는 과정을 6가지로 구분해 경제적 피해의 규모를 분석한 영국 애스턴대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연구진은 2023년 132개국의 양자무역 자료를 토대로 미국이 캐나다·멕시코·중국에 최대 25%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와 각국이 똑같이 보복하는 경우, 미국이 유럽연합(EU)으로 25% 관세를 확대하는 경우와 EU가 보복하는 경우, 미국이 모든 나라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와 각국이 보복하는 경우 등 6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했다.
캐나다와 멕시코가 미국의 관세에 대응해 25% 보복 조치에 나서는 두번째 시나리오까지만 가더라도 세 나라의 수출이 모두 30% 넘게 급감했다.
실질적 1인당 국내총생산(GDP)으로 보면 멕시코와 캐나다가 7%와 5% 감소해 1.1% 감소하는 미국보다 타격이 컸다.
그러나 EU로의 확전을 거쳐 전세계로 무역전쟁이 확대될 경우 인플레이션 심화의 타격은 미국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미국의 수출은 66%, 수입은 46% 감소했다. 이 경우 전세계 경제에 미치는 타격은 1조4천억 달러에 달했다.
대미 자동차 수출 규모가 큰 한국의 경우 EU의 보복 관세로 확전되는 시나리오까지는 미미하게나마 무역전쟁의 이익을 보다가, 전세계로 확대될 경우 피해를 면치 못하는 것으로 연구진은 분석했다.
준 두 애스턴대 교수는 각국이 25% 관세를 서로 부과할 경우 대공황을 심화시킨 1930년대 무역전쟁과 비슷한 효과를 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 연구는) 어떻게 보호주의가 경쟁력을 침식하고 공급망에 차질을 빚으며 소비자에게 과한 비용을 부담시키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와 관련, 미 동부 시간으로 2일 오후 3시(한국 시간 3일 오전 4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국가별로 발표될 상호관세의 범위는 불분명하고 각국이 상호관세에 맞서 어떻게 대응할지도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