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내 상용화 전망 가능한 '뇌에 칩 이식' 뇌-컴퓨터 연결기기 시장 540조 규모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포문을 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시장 규모가 미국에서만 540조원에 이르며 스타트업간 기술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8일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주간 동향 리포트'에서 모건 스탠리의 분석을 인용해 미국 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 시장이 약 540조원(4천억 달러) 규모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 향후 5년 이내 임상 시험을 마친 기기들의 본격적인 상용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뉴럴링크가 최근 미국 외 국가에서 처음으로 캐나다 규제 당국으로부터 임상시험을 승인받아 토론토 웨스턴 병원에서 뇌 칩 이식을 시험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자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됐다.

보고서는 디지털과 바이오 분야 외신을 인용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과 스마트홈 장치, 전자기기의 통합은 사지마비 환자가 주변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통해 자율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규제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지만, 전문가들이 여전히 이 기술의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뉴럴링크의 뇌 이식 칩을 '혁신 장치'로 지정하고 신경 과학 분야의 획기적인 진전으로 평가했다.

뉴럴링크 외에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에 도전하는 스타트업이 속속 등장하며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뉴럴링크처럼 뇌에 칩을 심는 '침습적 방식'의 대표 기업으로는 싱크론, 패러드로믹스 등이 있고 이중 싱크론은 빌 게이츠 등 유명 투자자의 지원을 받았다.

아울러 뇌파 등 비침습적 방식을 쓰는 시장도 확대하며 오픈 BCI, 넥스트마인드 등 스타트업에서 뇌파 지원 헤드폰이나 가상현실(VR) 헤드셋, 스마트 안경과 같은 제품과 호환도 활발히 연구 중이다.

선두주자로 꼽히는 뉴럴링크는 올해 1월 말 처음으로 사지마비 환자 놀런드 아르보의 두뇌에 칩을 이식하는 수술을 한 데 이어 지난 8월에는 두 번째 환자에 대한 이식수술도 성공적으로 했다고 발표했다.

관련 뉴스

제목 등록 조회 일자
전세계 '요동'...트럼프, 더 강력한 美우선주의 귀환 예고… 글로벌한인 765 12/05/24
국민 70% "공공외교 정책, 국가이미지 제고에 도움 된다" 글로벌한인 859 11/29/24
미 연준 금리 4.5∼4.75%로 0.25%p 추가 인하 글로벌한인 657 11/08/24
미 대선 앞두고 비트코인, 6만7천678달러.... 글로벌한인 887 10/17/24
런던서 만나는 韓영화 글로벌한인 1678 09/20/24
한국, 역대 최다 타이 금메달 13개 종합 8위 글로벌한인 1083 08/12/24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 애틀랜타서 과학기술 창업 콘퍼런스 20∼21일 개최 글로벌한인 1753 04/02/24
유명 래퍼 카디비, '불닭' 먹고 "재밌다" 글로벌한인 2065 03/23/24
AI, 선진국 일자리 60%에 영향 미칠 것 글로벌한인 2348 01/15/24
11월 미국 대선, 기준금리 문제에 유권자 주목 글로벌한인 2441 01/11/24
조수미 등 출연 뉴욕 카네기홀서 정전 70주년 기념 콘서트 글로벌한인 1789 10/27/23
미국 데스밸리 사막에 역사상 최대 폭우 글로벌한인 2135 08/23/23
한국 글로벌 여권 순위, 199개국 중 2위 유지 글로벌한인 2483 01/12/23
뉴저지 한인회 페스티벌에 씨름·노래자랑 등 글로벌한인 4540 10/20/22
'의병'도 우리 역사 속 한류스타" 반크, 의병 이야기 배포 글로벌한인 2579 08/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