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금리 4.5∼4.75%로 0.25%p 추가 인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9월에 이어 또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연준은 7일(현지시간) 이틀간 진행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75∼5.0%에서 4.50∼4.75%로 0.25%포인트 인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연준은 지난 9월 FOMC 회의 결과 4년 반 만에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한 이후 이날 연속으로 금리를 내렸다.


이에 따라 한국(3.25%)과 미국의 금리 격차는 1.50%포인트로 다시 줄었다.

한미 금리차는 지난 9월 18일 연준의 빅컷 이후 1.50%포인트였으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달 11일 기준금리를 3.25%로 0.25%포인트 낮추면서 다시 1.75%포인트로 벌어진 바 있다.

연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최근 지표들은 경제 활동이 계속 견고한 속도로 확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올해 초부터 노동시장 상황은 전반적으로 완화됐고, 실업률은 상승했지만,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인플레이션은 FOMC의 2% 목표를 향해 진전을 이뤘지만,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FOMC는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위한 리스크가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지난 9월 빅컷 단행 당시 성명에서 언급됐던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2%를 향해 가고 있다는 더 큰 자신감을 얻었다"는 표현은 이번 성명에서는 빠졌다.

연준은 그러면서 "경제 전망은 불확실하며 FOMC는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양대 책무(dual mandate)의 양쪽 측면에 대한 위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했다.

이번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0.25%p 인하는 어느 정도 예견된 것이었다.

연준이 지난 9월 FOMC 회의 후 내놓은 점도표에서 연말 기준금리 전망치(중간값)를 종전의 5.1%에서 4.4%로 낮추면서 연내 0.5%포인트 추가 인하를 예고했기 때문인데,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연준이 11월과 12월에 0.25p씩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연준은 또 내년 이후 기준금리 중간값을 2025년 말 3.4%(6월 예측치 4.1%), 2026년 말 2.9%(6월 예측치 3.1%), 2027년 말 2.9%(6월 예측치 없음)로 각각 예상한 바 있다.

다만, 이번 FOMC 회의 직전 치러진 11·5 미 대선에서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하면서 연준이 장기적으로 기준 금리를 인하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트럼프의 대선 승리는, 세금·지출·이민·무역에 대한 광범위한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공화당의 미 의회 상·하원 장악과 함께, 경제 전망을 재편할 잠재력이 있다"며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정책의 조합이 성장을 촉진할지, 아니면 성장을 약화하고 물가를 끌어올릴지를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고 짚었다.

WSJ는 이어 "이러한 전망 변화로 인해 월가에서는 연준이 향후 1∼2년간 금리를 꾸준히 낮출 수 있을 것이라는 기존 예상을 바꿀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번 대선 캠페인 기간 내놓은 10% 보편적 관세 등 각종 경제 공약이 미국 내 인플레이션을 더욱 부채질할 수 있다는 경제학자들의 경고가 많은 상황에서 연준의 금리 인하가 이어질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의미다.

이와 관련,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FOMC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통화정책 영향에 관한 질의에 "단기적으로 볼 때 선거가 우리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파월 의장은 이어 "현시점에서 우리는 향후 정책 변화의 시기와 내용에 대해 알지 못하고 따라서 경제에 대한 영향도 알 수 없다"면서도 "원칙적으로 어떤 행정부의 정책이나 의회의 정책들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우리가 2개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 뉴스

제목 등록 조회 일자
미 대선 앞두고 비트코인, 6만7천678달러.... 글로벌한인 887 10/17/24
런던서 만나는 韓영화 글로벌한인 1678 09/20/24
한국, 역대 최다 타이 금메달 13개 종합 8위 글로벌한인 1083 08/12/24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 애틀랜타서 과학기술 창업 콘퍼런스 20∼21일 개최 글로벌한인 1753 04/02/24
유명 래퍼 카디비, '불닭' 먹고 "재밌다" 글로벌한인 2065 03/23/24
AI, 선진국 일자리 60%에 영향 미칠 것 글로벌한인 2348 01/15/24
11월 미국 대선, 기준금리 문제에 유권자 주목 글로벌한인 2441 01/11/24
조수미 등 출연 뉴욕 카네기홀서 정전 70주년 기념 콘서트 글로벌한인 1789 10/27/23
미국 데스밸리 사막에 역사상 최대 폭우 글로벌한인 2135 08/23/23
한국 글로벌 여권 순위, 199개국 중 2위 유지 글로벌한인 2483 01/12/23
뉴저지 한인회 페스티벌에 씨름·노래자랑 등 글로벌한인 4540 10/20/22
'의병'도 우리 역사 속 한류스타" 반크, 의병 이야기 배포 글로벌한인 2579 08/15/22
'시드니 한식 축제' ...50개 한식당 참여 글로벌한인 4641 07/08/22
WHO "원숭이두창 48개국서 3천200명 감염, 1명 사망, 확인 못한 감염자도 많을 것" 글로벌한인 2321 06/24/22
약세장…세계 50대 부호들도 올해들어 712조원 자산 증발...머스크 87조원 감소 글로벌한인 5634 05/2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