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의 질 나쁘면 음모론에 빠질 위험 커진다"

수면 부족이나 불면증 등으로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사람은 음모론에 대한 취약성이 커질 수 있으며 여기에는 우울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노팅엄대 대니얼 졸리 교수팀은 13일 국제 학술지 건강심리학 저널(Journal of Health Psychology)에서 1천여 명이 참가한 두 가지 실험에서 과거 한 달간 수면이 질이 나쁜 사람은 음모론적 콘텐츠에 노출된 후 이를 지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음모론은 강력하고 비밀스러운 집단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며 사회에 해를 끼친다고 주장한다며 이런 믿음은 백신 접종 반대, 기후 변화 회의론, 정치 불신 등 사회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첫 번째 연구에서 이들은 실험 참가자 540명의 수면의 질을 평가한 다음 이들에게 2019년 프랑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에 관한 음모론적 내용이 담긴 기사와 화재 사고를 사실적으로 설명한 기사 등 두 건의 기사를 보여줬다.

각 기사에 대한 믿음 등을 조사한 결과 과거 한 달 동안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사람들은 수면의 질이 좋은 사람들보다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에 고의적인 은폐가 있었음을 암시하는 음모론을 믿을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575명이 참가한 두 번째 연구에서는 수면의 질 저하와 음모론적 신념 증가를 연결하는 근본적인 메커니즘과 불면증이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수면의 질 저하와 불면증은 모두 음모론적 사고방식, 특정 음모론에 대한 믿음 등 음모론적 신념과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와 편집증도 음모론적 신념에 영향을 미쳤지만 일관성은 떨어졌다.

연구팀은 개인은 수면의 질을 개선하면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오해 소지가 있는 이야기에 저항할 능력을 더 잘 갖출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연구는 음모론 확산 방지를 위해 수면에 초점을 맞춘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졸리 교수는 "수면은 정신 건강과 인지 기능이 매우 중요하고 수면 부족은 음모론적 사고의 원인이 되는 우울증, 불안, 편집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연구는 수면의 질을 개선하면 음모론에 대한 취약성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출처 :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Daniel Jolley et al., 'Investigating the Link Between Sleep Quality and Belief in Conspiracy Theories', http://dx.doi.org/10.1177/13591053251320598

글로벌 뉴스

제목 등록 조회 일자
"미세 플라스틱, 광합성 방해해 기후위기와 비슷한 정도로 농작물 손실에 영향" 글로벌한인 540 03/12/25
'한국전쟁' 충분히 피할 수 있었다"...역사학 교수가 쓴 신간 '냉전' 글로벌한인 569 03/11/25
캐나다 새 집권당 대표에 마크 카니 글로벌한인 743 03/11/25
미국, 중국 공안 연계 중국해커 무더기 기소…한국외교부 해킹 혐의도 글로벌한인 724 03/07/25
노년기 불면증엔 근력 운동이 가장 효과적 글로벌한인 560 03/06/25
이집트 라메세움 신전 구조 파악할 흔적 찾았다 글로벌한인 555 03/06/25
"오스카 최대이변 여우주연상"..'아노라' 주연 매디슨 수상 글로벌한인 416 03/04/25
젤렌스키 "트럼프 재회·광물협정 서명할 준비" 글로벌한인 365 03/04/25
51% "미국 땅서 태어나면 국적 자동 부여해야" 글로벌한인 658 03/03/25
"폭염에 노출되면 최대 2.5년 노화 빨라진다" 글로벌한인 551 02/28/25
안보리, 러 침략 언급없는 美제안 우크라전쟁 결의 채택 글로벌한인 407 02/26/25
흉악범죄에 지친 독일…난민정책이 총선 승패 갈라 글로벌한인 822 02/25/25
"비참한 전쟁 체험·역사 전해져야"....전후 80주년 맞아 65세 생일 맞은 일왕 글로벌한인 435 02/24/25
국무부, 중남미 8개 카르텔을 '외국테러단체'로 지정 글로벌한인 517 02/21/25
스웨덴 연구팀 "아스파탐 섭취 생쥐, 인슐린 급증,인공 감미료도 인슐린 급증 유발" 글로벌한인 543 02/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