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달러 환율 급락은 다른 아시아국 환율 급락의 전조"
05/09/25 최근 대만달러/미국 달러 환율이 급락한 현상이 앞으로 몇 분기 안에 다른 아시아 통화 환율에서도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라이즌 캐피털이 소유한 외환 중심의 소규모 헤지펀드 유라이즌 SLJ의 스티븐 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투자자에게 보낸 메모에서 이같이 예상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7일(현지시간) 전했다.
2009년까지 모건스탠리의 통화전략팀을 이끈 젠 CEO는 대표적인 '달러 고평가'론자 중 한 명이다.
그는 "달러의 비선형적인 매도세에 (미 달러) 투자자들이 속수무책으로 당할 위험이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고 믿는다"며 "지난주 대만달러/미 달러 환율 급락은 그 한 사례에 불과하며 앞으로도 이러한 사례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대만달러/미 달러 환율은 지난 2일과 5일 2거래일간 9% 급등한 후 6일 3% 반락하는 롤러코스터 장세를 펼쳤다.
미 달러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견지해온 젠 CEO는 특히 중국의 '섀도 리저브(비공식 외환보유액)가 달러 약세 시 대거 빠져나갈 위험을 얘기해왔으며 이번 대만달러 환율 급락이 그 위험의 시작이라고 봤다.
그는 "우리는 오랫동안 달러의 '눈사태'(폭락) 위험을 경고해왔다"며 "중국에서만 약 2조5천억달러(약 3천490조원) 규모의 '눈'이 쌓여 있고 이외 대만, 말레이시아, 한국 등에서 연간 5천억달러가 추가로 늘고 있다. 이들 국가가 거둔 막대한 무역흑자의 일부만이 본국으로 송금됐을 뿐 수출업체들이 상당량을 미 달러 예금으로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아직 더 많은 방아쇠를 기다리고 있지만, 이번 주 대만달러 환율 급락은 이러한 달러 눈사태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며 "앞으로 몇 분기 동안 아시아 통화 환율에서 또 다른 급락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아시아가 미국 무역적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아시아 통화 환율의 조정은 미국을 진정시킬 수 있다고도 했다.
젠 CEO는 경제 규모 대비 누적 무역흑자를 기준으로 볼 때 중국,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 '달러 눈사태'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지목했다.
그는 "만약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내리며, 중국이 경기 회복 국면에 접어들면 미 달러 보유 자산의 과잉은 여전히 너무 크다"며 "지난 몇 년간 수출 수입을 본국으로 들여오지 않고 미 달러로 보유하게 만든 '밀어내는' 요인과 '끌어당기는' 요인이 앞으로는 반대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