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행 - 진도 문화 기행의 출발점은 운림산방
— 03/13/25
진도 문화 기행의 으뜸이자 출발점은 운림산방이다. 조선 남종화의 대가 소치 허련(1808∼1893)이 서울에서 낙향해 말년을 보낸 화실이면서 그의 직계 5대의 화맥이 200년간 이어지는 전 세계에 둘도 없는 대화맥의 산실이다.
거창한 소개를 듣는 것보다 직접 가보면 느낄 수 있다. 진도에서 가장 높은 첨찰산(485m) 아래 아침저녁으로 피어오르는 안개가 구름 숲을 이뤘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운림산방, 그 풍치와 운치가 어떻게 거장의 품격이 됐는지를.
소치는 해남 대흥사에 있던 초의선사 밑에서 그림을 배웠고 30대에 초의를 통해 추사 김정희 문하에 입문해 서화 공부를 했는데, 시(詩)·서(書)·화(畵)에 모두 능해 '소치삼절'(小痴三絶)이라 불렸다.
추사는 중국의 거장 대치(大痴) 황공망과 비교해 소치라는 아호를 지어주고 "압록강 동쪽에는 소치를 따를 만한 사람이 없다"고 칭찬했다.
하얀 눈을 덮어쓴 운림산방, 그곳에 우아한 자태를 뽐내는 배롱나무를 보니 바로 옆 소치 작품들을 전시한 '소치1관'에서 본 '바위와 모란'(怪石牧丹圖)의 시구가 떠오른다.
달의 정령과 눈의 넋이 뿌리에 들어있다가
봄이 오자 향기로운 꽃이 하룻밤 새 피었네
봄과 꽃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소치2관에 들어가니 소치의 후손인 2대 미산 허형, 3대 남농 허건, 임인 허림, 4대 임전 허문, 5대 허진, 허은, 허청규, 허재, 허준 등 소치 일가 직계 작가들의 작품이 기다리고 있다.
200년 세월의 풍파가 양천 허씨의 화맥에 어떤 영향을 줬을지 헤아려봄도 좋을 듯하다.
첨찰산 자락, 운림산방 옆에는 신라 때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는 쌍계사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상록수림이 있어 그냥 지나칠 수 없다.
절 양편에 계곡이 흘러 쌍계사라 이름했다는 이 절은 대웅전 앞에 핀 동백이 절경이었다. 한겨울 붉은 꽃을 토해낸 동백, 그 꽃잎 위로 소복이 쌓인 하얀 눈이 마냥 신기했다.
소치라면 이 꽃을 어떻게 그렸을까. 물도 되고, 안개도 되고, 눈도 되는 여백으로 남종화의 철학과 멋을 담아내지 않았을까.
진도의 예술혼은 어디에서 온 걸까. 의견이 분분하지만 두 가지만 추려보자.
우선 풍족한 물산이다. 진도에서는 예로부터 쌀농사가 잘됐다. 요즘도 1년 쌀농사를 지으면 2만8천명의 인구가 10년 먹을 수 있을 정도다. 먹는 문제가 해결되면 문화예술을 찾게 된다.
장재호 해설사는 "모내기한 뒤 백일이면 수확을 하고 먹거리가 풍족한 상황에서 진도 남자들은 시를 쓰고 그림을 그리고 노래하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원격지인 만큼 중요한 유배지였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조선시대 귀양을 간 약 700명 중 54명이 진도로 보내졌다.
풍광이 유려한 진도에서 귀양 온 이들은 시와 글을 짓고 그림을 그리며 소일했다.
선조와 숙종 때 영의정이었던 노수신과 김수항, 양명학자인 이광사 등 걸출한 학자들이 진도에 문화예술의 씨를 뿌렸다. 진도에서 서화의 거장들이 대거 배출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