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 권도형은 누구?...한국산 코인 폭락 사태에 30살 가상화폐 거물 사면초가 신세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테라USD(UST) 폭락 사태로 글로벌 가상화폐 시장이 큰 충격을 받은 가운데 두 코인을 발행한 블록체인 기업 테라폼랩스의 권도형 최고경영자(CEO)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불과 얼마 전만 해도 '한국판 일론 머스크'로 불리며 가상화폐 업계의 총아로 떠올랐으나 루나와 테라 폭락 사태를 거치면서 외신들은 실리콘밸리 최대 사기극의 주인공 엘리자베스 홈스 전 테라노스 CEO와 같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과 가상화폐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 등에 따르면 30살 권 대표는 화려한 이력을 가진 청년 창업가다.

한국의 외국어고교를 졸업한 뒤 미국 실리콘밸리 인재의 산실로 불리는 스탠퍼드대학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

빅 테크 기업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 엔지니어를 거쳐 2018년 소셜커머스 티몬 창업자 신현성 대표와 손을 잡고 테라폼랩스를 설립했다.

그는 테라폼랩스가 발행하는 루나와 테라 코인을 통해 거물로 성장했다. 한때 두 코인이 시가총액 상위권 암호화폐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불과 한 달 전에는 가상화폐의 큰손을 뜻하는 '비트코인 고래'로도 주목받았다.

그가 설립한 '루나파운데이션가드'가 테라 가치를 떠받치는 안전장치의 일환으로 15억 달러(1조9천300억 원)어치 비트코인을 사들였기 때문이다.

권 대표는 한국과 테라폼랩스 본사가 있는 싱가포르를 오가며 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권'(Do Kwon)이라는 아이디를 쓰는 그의 트위터 팔로워는 63만 명이 넘는다.

가상화폐 부자가 된 그는 국내외 언론과는 접촉을 피하면서 '루나틱'이라고 불리는 투자자들과 SNS로 소통했다. 이런 모습이 트위터를 애용하는 세계 최대 부자 머스크와 닮았다고 해서 '한국판 머스크'로 불리기도 했다.

하지만 루나, 테라 폭락 사태는 탄탄대로를 걷던 권 대표의 발목을 잡았다.

사실 테라폼랩스의 사업 구조는 초기부터 논란이 적지 않았다.

테라폼랩스는 특이한 알고리즘을 채택해 코인을 발행한다. 테라 블록체인 생태계의 기본 통화인 루나 공급량을 조절해 스테이블 코인인 테라 1개의 가치를 1달러에 맞추도록 한 것이다.

또한 테라를 예치하면 루나로 바꿔주고 최대 20% 이율을 약속하는 방식으로 투자자를 모았다.

하지만, 다른 스테이블 코인이 실물자산을 담보로 한다는 점에서 루나와 테라의 거래 알고리즘은 폰지 사기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가상화폐 상승기에는 이 알고리즘에 문제가 없었지만 최근 가상화폐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시스템은 작동 불능 상태에 빠졌다.

테라가 1달러 밑으로 추락하자 테라폼랩스는 루나를 대량으로 찍어냈다. 루나로 테라를 사들여 유통량을 줄임으로써 테라 가격을 올리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루나 가치는 통화량 증가의 덫에 빠지며 폭락했고 테라와 루나를 동반 투매하는 뱅크런으로 이어졌다. 이른바 '죽음의 소용돌이'(death spiral) 효과다.

권 대표는 코인 폭락을 해결하기 위해 15억 달러 자금 조달에 나섰지만 여의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테라폼랩스가 암호화폐 업계의 여러 기업과 접촉했으나 자금 조달에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권 대표가 사면초가에 몰린 가운데 그의 과거 행적과 트위터 발언을 들추며 비판하는 외신 보도도 잇따르고 있다.

코인데스크는 권 대표가 과거 실패한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인 베이시스 캐시를 익명으로 공동 설립했다고 보도했다.

또 작년 7월 영국의 한 경제학자가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 모델의 실패 가능성을 지적하자 권 대표는 "난 가난한 사람과 토론하지 않는다"고 조롱했다고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전했다.

코인데스크의 데이비드 모리스 수석 칼럼니스트는 "권 대표는 암호화폐의 엘리자베스 홈스"라며 테라, 루나 폭락 사태를 둘러싼 소송과 형사 고발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권 대표가 루나의 근본 구조에 대한 비판에 '바퀴벌레', '바보'라고 대응한 적이 있다"며 "그는 함선에 구멍을 낸 뒤 침몰하는 배의 구멍에 쏟아부을 자본을 찾고자 했다"고 비판했다.

경제 뉴스

제목 등록 조회 일자
미국 정보 기술주 급락속 고용 규모 축소 글로벌한인 3137 05/13/22
4월 CPI에 대한 전문가 시각 글로벌한인 2988 05/12/22
한국산 코인 '루나·테라' 폭락 충격파 글로벌한인 3000 05/12/22
머스크, 트럼프 트위터 계정 영구정지 철회 글로벌한인 2771 05/11/22
인플레·금리 부담 속 주식 투매…기술주·정유주 등 전방위 하락...나스닥 4.3%↓ 글로벌한인 2095 05/10/22
팬데믹 2년간 급성장한 기술기업들, 인플레·금리인상에 위기 글로벌한인 2328 05/09/22
다시 떨고 있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의 망령 글로벌한인 2649 05/06/22
미연준, 금리 0.5%p 인상, 추가 인상 검토 글로벌한인 3167 05/05/22
러시아·우크라 밀 공급 급감에 다른 국가로부터 밀 수입 늘려 글로벌한인 5024 05/05/22
팬데믹 기간 미국 집값 6조8천508억달러 이상 상승 글로벌한인 3429 05/03/22
트위터 인수의 배후에 WSJ, 잭 도시와 페이팔마피아 지목 글로벌한인 1286 05/02/22
'지루한 원숭이' NFT 뭐길래...가상토지 2억8천500만 달러에 분양 글로벌한인 1724 05/02/22
뉴욕증시, 마이너스 성장에도 나스닥 3.1% 상승 글로벌한인 5428 04/29/22
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투자심리 악화 나스닥 4%↓ 글로벌한인 4634 04/27/22
세계은행, "1970년대 이후 최대 원자재 쇼크…스태그플레이션 망령 되살아나" 글로벌한인 2875 04/27/22